생애 최초 학교 입학, 전학, 상급학교 진학 등으로 학교를 선택해야 할 때가 온다. 개인과 가족에 따라 선택 기준이 다양하겠지만 입학을 위한 절차는 비슷하다. 비슷하다라고 한 이유는 미국 학교들은 일괄적으로 똑같이 처리 하는 일들이 거의 없다. 공/사립이 다르고 주(state) 마다 교육법이 각각이며 같은 주라도 학군에 따라 다르다. 같은 학군이라도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한마디로 아이 하나 학교 보내는게 정말 일이다.

공립학교

우선 공립학교는 비교적 간단한 쪽에 속한다. 살고 있는 집을 기준으로 학군(school district)을 찾으면 되고 학군 내에서 내 주소에 배정된 학교(홈스쿨이라고 한다)를 알아 보면 된다. 학교 오픈 하우스 행사가 있다면 미리 둘러 볼 수 있고, 필요한 서류들은 학군 안내에 따라 준비하면 된다. 보통 거주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유틸리티 영수증과 아이의 나이를 증명하기 위한 출생증명서, 신체 검사서, 예방 접종표 등이다.

더 좋은 학군/ 학교를 위해 이사를 하거나 장거리 이사를 해야 한다면, 다시 말해 학교를 염두에 두고 거주지를 선택하고자 한다면 웹사이트에서 검색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Niche가 있다. 우편 번호(zip code) 또는 학교 이름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검색이 가능하며 학교 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정보까지 알아 볼 수 있다. 거주지에 따른 학교 검색은 부동산 전문 사이트에서도 가능하지만 학교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가 늦는 경우도 있으므로 교육정보 전문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니치 이외에 대표적인 학교 검색 사이트로 greatschools.org가 있다. 두 사이트 다 우편번호, 도시 이름, 개별 학교 이름 등으로 검색 가능한데 그레이트 스쿨스는 4개 학교까지 비교해 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또 각 항목마다 학부모 팁을 통해 설명이 잘 되어 있다.

거주지에 해당하는 학교들이라 해도 100% 보장은 없다. 영어 학습자라면 그 학교에 영어 보충 수업이 있는지, 학생의 조건에 맞는 특수교육 프로그램이 있는지에 따라 입학 여부가 정해지며 학교와 담장 하나 사이에 있는 집에 산다고 하더라도 학교 정원이 찼다면 전학은 불가능해서 주변의 다른 학교를 다니다 결원이 생겨야 입학이 가능한 경우가 종종 있다. 이른바 인기 학군이라는 곳에서는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해당 지역 교육구와 먼저 접촉하는 편이 현명하다. 각급 학교는 교육구 방침에 따라 운영되며 지역에따라 학생 배정 이외에도 교육구가 관여하는 영역이 큰 곳도 있다. 지역의 교육구는 대부분 지명과 일치하며 주 정부 교육부 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하다.

검색 사이트 등에서 보이는 학업성적 관련 수치는 부족해 보이지만 지난 해에 새로 부임한 교장이 학교의 명예를 높이기 위해 특별반을 구성하는 등 남다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는 정보는 직접 듣거나 재학생의 학부모, 지역 인사가 아니면 알기 어렵다. 또 하나의 요령은 니치나 그레이트스쿨스 사이트에서 학교에 달린 리뷰를 꼼꼼하게 읽어 보는 것이다. 개인적 감정으로 남긴 악플도 있겠지만 대체적인 분위기 파악은 물론 의외로 학교에서 벌어진 사소하지만 중요한 일을 알 수도 있다.

이사하지 않고 시험을 봐서 다른 교육구의 학교로 진학을 하는 경우나 부모의 출퇴근 동선에 맞춰 학교를 정해야 한다면 교육구와 해당 학교에서 어떤 조건에서 전학을 받아주는지 알아야 하고, 홈스쿨 학군에서 전학을 허락하는지도 문의해야 한다. 홈스쿨 학군 밖의 학교에 다니게 되면 매해 새 학년이 시작될때 ‘릴리즈 폼'(School District Release Form)을 홈스쿨 디스트릭에서 받아서 다니는 학교에 제출해야 한다.

사립학교

사립학교는 해당 학교에 찾아가는 것이 좋다. 학교 오피스에 가는게 제일 확실한 방법이다. 입학 방법은 학교마다 다르지만 공통적인 사항은 시험과 인터뷰다. 지원하는 학교에서 어떤 입학 시험을 채택했는지 확인해야하지만 주요 시험인 ISEE와 SSAT 점수 둘 다 받는다면, 두 시험 중 자녀에게 더 적합한 시험을 선택한다. 가톨릭 계열 학교들은 HSPT(High School Placement Test)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ISEE와 SSAT
ISEE(Independent School Entrance Exam)과 SSAT(Secondary School Admission Test)는 대표적인 사랍학교 입학 시험이다. 두 시험의 공통점은 verbal, reading, writing, math 영역에서 객관식-다지선다형 문제로 출제 된다.

ISEESSAT
시험 형식지필시험과 컴퓨터지필시험
시험일세션 별 (가을, 겨울, 봄)매달
문제 형식과 배점4지 선다 / 감점없음5지 선다 / 틀린 문제 감점
난이도 구성섹션이 뒤로 갈수록 어려워지는 구성무작위 구성
학년 구분Primary(gr2-4), Lower(5-6), Middle(7-8), Upper(9-12)Elementary(4-5), Middle(6-8), Upper(9-12)

◉ ISEE (Independent School Entrance Exam)
뉴욕에 있는 ERB(Educational Records Bureau)에서 주관하여 미국의 사립 초, 중, 고등학교 뿐 만아니라  한국 등 국제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험. 모든 레벨이 수학과 영어(Reading)과목에서 객관식 문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Lower레벨부터는 프롬프트가 있는 에세이가 포함된다. 시험시간은 Primary는 53~60분 (+writing sample time)이며 Lower레벨 이상은 2시간 20~40분이 배정되어 있다. 에세이는 채점되지 않지만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된다. 계산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점수는 표준화 점수(scaled score)와 백분위 점수(percentile rank)로 나뉘는데 표준화 점수는 레벨에 상관없이 모든 섹션에서 정답에만 760~940점을 배정받는다. 백분위 점수의 경우 백분율로 계산해 최고 99%에서 최저 1%로 나오는데 99 percentile을 받을 경우 스코어가 상위 1% 안에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테스트 시즌은 가을 (8-11 월), 겨울 (12-3-3 월), 봄 / 여름 (4-7 월)으로 구분되며 원하는 날짜를 선택할 수 있지만 시즌 당 1회만 신청할 수 있다. 개인 신청자 등록 비용은 $210 이다. 웹페이지 erblearn.org / iseeoperations@erblearn.org, 전화 800-446-0320

◉ SSAT(Secondary School Admission Test)
SSATB(Secondary School Admission Test Board)에서 주관하는 사립 중·고등학교 입학시험으로 ISEE와 마찬가지로 많은 학교들이 입학사정의 한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수학과 언어 영역에서 3분야(quantitative(math), verbal, and reading comprehension sections)에서 출제되며, 채점하지 않는 글쓰기(unscored writing sample)가 있다.
3,4학년을 대상으로 한 Elementary Level은 각 분야 별 450~600점으로 채점되며 15개 남짓의 실험문제를 포함 총 89문제를 2시간 5분 동안 푼다.
5-7학년 대상의 Middle 레벨 역시 verbal, quantitative (math), reading comprehension 영역에서 5지 선다형 객관식 문제로 출제되며 각 과목은 440~710점 총 2130점 만점으로 채점되며 원점수 계산시 오답은 0.25점 감점이 있다. 8-11학년 대상인 Upper 레벨은 각 과목 800점 만점으로 성적표에 1500~2400 총점과 퍼센타일 점수가 기록되며 미들레벨과 마찬가지로 오답은 감점된다. 등록비는 Elementary 레벨은 $80, Middle과 Upper 레벨은 $ 132 다.
5-7학년 대상의 Middle 레벨 역시 verbal, quantitative (math), reading comprehension 영역에서 5지 선다형 객관식 문제로 출제되며 각 과목은 440~710점 총 2130점 만점으로 채점되며 원점수 계산시 오답은 0.25점 감점이 있다. 8-11학년 대상인 Upper 레벨은 각 과목 800점 만점으로 성적표에 1500~2400 총점과 퍼센타일 점수가 기록되며 미들레벨과 마찬가지로 오답은 감점된다. 등록비는 Elementary 레벨은 $80, Middle과 Upper 레벨은 $ 132 다.

그밖에 상당수 가톨릭 사립 고등학교들이 입학사정에서 요구하는 시험인 HSPT (High School Placement Test)가 있다. Scholastic Testing Service(STS)에서 주관하며 보통 9학년에 진학할 예정인 8학년생들이 치른다. 5개 섹션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에세이는 없다. 관련 정보는 http://www.ststesting.com/hsp/index.html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랜 시간 집중해서 문제를 푸는 경험이 없는 저학년은 문제가 쉽고 어렵고를 떠나 몇 시간동안 앉아 있어야 하는 상황 자체가 도전이다. 각 사이트에서 주는 연습 문제들을 중심으로 일정 시간 집중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또 전문가들은 사립학교에 지원할 계획이 있는 학생이라면 평상시 다양한 장르의 책을 많이 읽고 어휘력 향상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이 시험준비에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한다.
사립학교는 지원서(Application Form) 작성과 아이들의 시험에서 끝나지않는다. 많은 학교들이 부모 면담과 에세이를 요구한다. 상급학교 진학의 경우 교사 추천서(주로 영어,수학 선생님), 성적표도 필요하다.

Previous article인종 차별 발언 학생, 하버드 합격 취소처리
Next article캘리포니아 주립대학 UC와 CSU 입학을 위해 알아야할 것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