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도 여러번 썼지만 UC나 CSU의 각 캠퍼스들은 시스템 전체의 정책을 따르지만 신입생 선발을 비롯한 학사 일정 운영 부분은 캠퍼스별 재량권이 크다. 입시의 경우 어떤 기준에 따라 학생을 선발할지는 캠퍼스마다 다르지만 입시 방법 즉 지원체계는 공동 시스템을 사용해서 UC 계열 지원은 UC Application 을 공동으로 사용하며, CSU 역시 독립된 공통 입학지원서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 대학 입시 역시 가장 큰 요소는 성적이다. 고등학교 내신 성적인 GPA와 표준화시험인 SAT 또는 ACT 점수를 기본으로 한다. 내신 성적의 경우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들은 독특한 계산법을 가지고 있다. 2003 년 가을학기부터 CSU 와 UC 계열 대학들은 고등학교의 대학준비 교과과정을 일원화했는데 이른바 “a-g” courses라는 것이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마쳐야하는 필수 교과 과목들이다.
a-g courses
a. 역사 및 사회과학 1년: 미국 역사 1년 또는 미국 역사 1학기와 미 정부학 1학기, 사회학 1년을 수강해야 한다.
b. 영어 4년: 대입 준비반 수준의 영작문과 문학
c. 수학 3년(4년 권장): 대수학 1.2, 기하학 또는 이보다 높은 수학 과목을 1년에 하나씩 수강해야 한다.
d. 실험과학 2년: 생물학 1과 물리학 1년이 포함된다.
e. 외국어 2년: 수화(American Sign Language)도 포함된다.
f. 시각 및 공연 예술 1년: 댄스, 드라마, 연극, 음악 또는 시각예술이 해당된다.
g. 대학 준비 선택과목 1년: UC a-g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다.
a-g 성적 계산법
이에따라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 지원서를 통해 제출하는 성적은 일반적인 성적이 아니라 UC a-g 과목의 성적이다. 9학년이 끝난 여름부터 11학년을 마친 여름까지 교내외에서 수강한 과목들의 성적을 계산하는데 A=4 points, B=3 points, C=2 points, D=1 points (Pluses and minuses don’t count.) 로 계산한다. 수강 과목이 아너레벨 클래스인경우 A-C학점은 1점을 추가한다. 이때 선택한 아너 클래스들이 UC에서 인정받는 UC certified 과목인지 확인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입학사정에서 추가 포인트를 받지 못한다. UC certified 과목을 확인하는 방법은 학교 카운슬러 또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과목명들을 UC A-G 리스트에서 확인 하면 된다. UC a-g 리스트 과목과 각 학교별로 제공하는 과목에 대한 검색은 https://goo.gl/tsHrAQ 에서 할 수 있다. 아너클래스로 받을 수 있는 추가점수는 최대 8점이다. 이렇게 획득한 총 점수를 과목 수로 나눈 것이 UC GPA이고, 소수점 이하 숫자들은 올림이나 내림을 하지않고 표기해야 한다.
지원자격
UC
캘리포니아 필수교과과정 ‘a~g’과정을 최소 15점(courses) 이상, 12학년 시작 전 최소 11점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 이 기준은 캠퍼스와 전공에 따라 그 이상을 요구할 수 있다. 지원이 가능한 최저 점수는 a-g 과목을 C학점 이상으로 이수하고 GPA가 3.0 이상이다. 캘리포니아 비거주자( 타주와 외국 유학생)는 기준 점수가 조금 더 높아서 GPA 3.4 이상 이어야 하며, SAT나 ACT(에세이 포함) 점수와 일부 전공 지원자에 한해 SAT 서브젝트 시험 점수가 필요하다. 또 고교 졸업이후 대학의 정규과정에 등록한적이 없어야 신입생(first-time freshman) 자격이 있다.
CSU
CSU 계열 23개 캠퍼스 공통의 지원자 자격은 “a-g” courses 가운데 최소 15유닛을 이수한 고교 졸업자 (만일 고등학교 졸업을 하지 못했다면 검정고시격인 GED ) 증명서를 제출해야한다. 캘리포니아 거주민 학생일 경우 (UC)GPA 3.0점 이상, 비거주민 학생은 3.61점 이상이면 별도의 대입시험(SAT, ACT) 점수를 요구하지 않는다. 하지만 GPA가 3.0 이상이더라도 CSU 입학 후 영어 및 수학 클래스 배치고사를 보지 않으려면 SAT 또는 ACT를 볼 것을 대학 당국은 권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원자가 몰려서 경쟁이 치열한 캠퍼스들을 Impacted Programs 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속한 캠퍼스들과 특정 전공은 SAT 시험 점수를 요구하는 등 지원 자격과 방법이 타 캠퍼스와 비교해 보다 제한적이다. 지원하려는 학교 웹사이트를 통해서 개별 사항들을 확인해야 한다.
심사 과정
CSU 의 경우 임팩티드 프로그램에 속한 학교, 전공은 지원서 검토과정에서 GPA 및 SAT 점수로 구성되는 일레지벨리티 인덱스(Eligibility Index)와 함께 학생의 다양한 특기사항도 심사에 고려한다. 일레지벨리티 인덱스(Eligibility Index)를 계산 할 수 있는 페이지는 여기
UC 의 경우 신입생 심사과정은 ‘포괄적 심사(Comprehensive Review)’ 방식이다. UC측에서 밝힌 14가지 심사 항목은 다음과 같다.
1. UC 필수 과목의 성적 (Academic grade point average in all completed “a-g” courses, including additional points for completed UC-certified honors courses.)
2. 시험 점수 (Scores on the following tests: ACT with Writing or the SAT Reasoning Test.)
3. 필수과목 아닌 학과목들에서의 학업성취도 (Number of, content of and performance in academic courses beyond the minimum “a-g” requirements.)
4. 아너 이상의 수준 높은 과목 관련 학업성취도( Number of and performance in UC-approved honors, Advanced Placement, International Baccalaureate Higher Level and transferable college courses.)
5. 11학년 까지의 성적이 학교 상위 9%에 해당되는지 여부(Identification by UC as being ranked in the top 9 percent of your high school class at the end of your junior year (Eligible in the Local Context, or ELC)
6. 12학년 수강 과목 수준과 계획 (Quality of your senior-year program as measured by the type and number of academic courses in progress or planned.)
7. 학교에서 개설한 과목들을 고려해서 수강한 과목들의 수준과 성적 (Quality of your academic performance relative to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available in your high school.)
8. 특정 분야에서의 뛰어난 성과 (Outstanding performance in one or more specific subject areas.)
9. 학업 관련 분야에서의 뛰어난 결과 (Outstanding work in one or more special projects in any academic field of study.)
10. 성적 향상의 추이 (Recent, marked improvement in academic performance as demonstrated by academic GPA and the quality of coursework completed or in progress.)
11. 다양한 분야에서의 특별한 재능과 성취도, 리더십 등 (Special talents, achievements and awards in a particular field, such as visual and performing arts, communication or athletic endeavors; special skills, such as demonstrated written and oral proficiency in other languages; special interests, such as intensive study and exploration of other cultures; experiences that demonstrate unusual promise for leadership, such as significant community service or significant participation in student government; or other significant experiences or achievements that demonstrate the student’s promise for contributing to the intellectual vitality of a campus.)
12. 학교 프로젝트, 커리큘럼에 참여한 결과의 완성도 (Completion of special projects undertaken in the context of your high school curriculum or in conjunction with special school events, projects or programs.)
13. 특수한 환경 또는 역경을 극복한 경험 (Academic accomplishments in light of your life experiences and special)circumstanc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disabilities, low family income, first generation to attend college, need to work, disadvantaged social or educational environment, difficult personal and family situations or circumstances, refugee status or veteran status.)
14. 거주지역 및 학교 (Location of your secondary school and res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