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지는 2년제 대학인가?

미국에 있는 고등교육 기관(대학)의 이름은 크게 University와 College 가 있으며 Institute 도 있다.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등)
너무나 유명한 아이비리그 대학들이 유니버시티를 사용하고 한국의 대학들도 대부분 유니버시티를 사용하고 있어 칼리지라는 단어가 익숙하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더구나 준학사학위(A.A 또는 A.A.S)를 수여하는 2년제 교육기관들이 대부분 칼리지라는 이름을 쓰고 있으니. 커뮤니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받는 학위는 “Associate of Arts (A.A.)” “Associate of Applied Science (A.A.S.)” 다.

원래 칼리지는 고등교육 기관인 대학을 의미한다. 정확하게 따지면 같은 기숙사에 기거 하며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들이었다. 기숙학교 형태의 고등교육기관이다.  ‘동료’라는 뜻의 ‘Colleagues’ 단어를 생각하면 쉬 이해할 수 있다. 유니버시티의 단과대학들은 모두 다 칼리지로 지칭된다. 종합대학의 의미가 강한 유니버시티는 학부과정과 석/박사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오래 전 미국에 대학을 세우면서 모델이 된 것은 영국의 칼리지 시스템이었다. 알려진바대로 옥스포드는 39개의 칼리지와 6개의 홀, 4개의 대학과 여러 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칼리지와 홀들은 자치권을 행사한다. 미국 대학들의 역사를 보면 공통점이 “뉴”잉글랜드에 영국식 칼리지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하버드를 비롯한 예일 프린스턴 등도 학부는 칼리지이다.

리버럴아츠 칼리지는 칼리지 본연의 의무에 충실한 학교로 이해할 수 있다. 기숙사를 제공하고 학문 분야는 리버럴 아츠에 집중한다. 

예술대학인가?

리버럴 아츠는 한국어로 정확하게 해석하기 어렵긴한데 그나마 인문학이 가장 적절한것 같다. 이마저도 한국식으로 생각하면 “문사철”의 좁은 범위로 오해하기 쉽다. (문사철-문학,사학,철학) 자유 교양과목은 더더욱 아니다.

인문학은 주로 언어, 문학, 역사 등 인간의 창조성과 사회생활의 과정과 산물에 관련된 연구를 하는 학문으로 전통적으로 라틴-그릭 시대에는 문법, 논리학, 수사학, 수학, 기하학, 천문학과 음악을 일컬었다.

Trivium. Grammar, Dialectic (logic), Rhetoric
Quadrivium. Arithmetic, Geometry, Astronomy, Music

현대에서 미리엄 웹스터 사전은 이렇게 정의내린다.

Definition of liberal arts
1: the medieval studies comprising the trivium and quadrivium
2: college or university studies (such as language, philosophy, literature, abstract science) intended to provide chiefly general knowledge and to develop general intellectual capacities (such as reason and judgment) as opposed to professional or vocational skills

쉽게 생각하면 엔지니어링(공대)를 비롯 응용/융합 학문을 제외한 대부분의 학문이 리버럴 아츠에 속한다고 보면 된다. 미국의 리버럴 아츠 칼리지들 대부분은 학사학위 과정(학부) 중심으로 운영하며 공대는 없지만 수학과 기초과학 전공 당연히 있고 경제학 전공도 있다.

이제 리버럴아츠 칼리지에 대해 이야기 할 때 ‘2년제’ 또는 ‘예술대’ 같은 단어는 사용하지 말자.

월스트리트저널과 THE (Times Higher Education)가 선정한 리버럴아츠 칼리지 베스트 5는 Amherst College, Williams College, Pomona College, Wellesley College, Swarthmore College 다.

*포스트 제목에 사용한 이미지는 20세기 초 윌리엄스 칼리지의 Thompson Memorial Church 모습. 출처: NYPL

Previous articleUSMLE Step 1 점수 사라진다
Next articleUSC, 연소득 8만불 미만이면 학비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