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경시대회와 마찬가지로 과학분야에도 크고 작은 다양한 경시대회가 있다.
우선 국제올림피아드는 시험형식의 경쟁을 하는 대회가 18개, 프로젝트 연구 형식으로 6개 분야에 경시대회가 열린다. 수학경시와 마찬가지로 학교 팀에 소속되어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된다. 국제 올림피아드 이외에 미국내 유명 과학 경시대회는 다음과 같다.
Google Science Fair
세계 최대 인터넷 기업인 Google에서 2011년부터 운영하는 미래의 과학자들을 위한 과학 경시 대회다.
“무엇이 당신을 더 나아지게 할까?”라는 모토로 진행되는 이 행사는 13~18세 대상이며 개인과 팀으로 참가할 수 있다. 과학으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좋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할 아이디어를 겨룬다. 모든 과정은 인터넷으로 진행되는데, 참가자는 구글 e메일 계정을 만들고, 구글이 제공한 ‘대시보드’ 페이지에 프로젝트 보고서를 제출한다. 여기에는 프로젝트 개요, 진행방법, 자료 출처, 소개 동영상 등이 포함된다. 프로젝트는 컴퓨터 과학, 환경 과학, 식품학, 에너지 및 우주 등 11개 부분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연령대별(13-14세, 15-16세, 17-18세)로 한 명씩 최종 우승자가 정해지고, 이중 한 사람이 최우수상을 수상하게 된다. 최우수상 수상자에게는 $50,000의 장학금이 수여되고, 수상자를 배출한 학교 또한 $10,000의 과학 보조 지원금을 받게 된다. 대상 이외에 수상 분야는 ▷미국인 과학 혁신가상(Scientific American Innovator Award) ▷레고 교육 건설자상(LEGO Education Builder Award) ▷내셔널지오그래픽 탐험가상(National Geographic Explorer Award) ▷버진 갤럭틱 선구자상(Virgin Galactic Poineer Award) 등 이 있다.
GeoBee
과학 전문채널을 운영하는 내셔널지오그래픽은 ‘내셔널지오그래픽 비 퀴즈’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 미국 퀴즈 프로그램인 ‘내셔널 스펠링 비’를 차용해 지리학과 관련한 퀴즈 경연대회를 개최한다. 미국 전역에서 1만1000여개 학교에서 4학년에서 8학년 학생이 참가해 지식을 겨룬다. 8월에 등록이 시작된다. 등록비는 학교당 120달러.
사이트 참고 https://www.nationalgeographic.org/education/student-experiences/geobee/
Science Olympiad
International Science Olympiad (ISO: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와는 전혀 다른 대회. 1974년 North Carolina 주에서 15개 고등학교만이 참가했던 작은 대회로 시작해서, 1985년에 17개 주가 참가하는 미국 전국 대회로 발전했다. 초등학교 저학년(Division A)부터 고등학생(Division C)까지 모두 참가할 수 있다. 학교 팀 대항으로 지역 대회와 주 대회를 거쳐 5월 말에 매년 다른 주에 있는 대학교에서 최종 결승을 치르게 된다. LA는 옥시덴탈 칼리지. 참가 학생들은 이론과 원리(Science Concepts and Knowledge), 과학적 사고(Science Process and Thinking Skills), 응용과 테크놀로지(Application and Technology) 3분야로 나뉘어진 23개 개별 종목에서 경쟁한다. 1~5학년 초등학생들은 전문가들과 함께 하는 Science Olympiad Fun Night이나 직접 체험하는 Fun Day 형식으로 진행되며 경연 주제가 정해져있다. 예를 들면 동물퀴즈, 테니스공 투석기로 멀리 날리기, 달걀 떨어뜨리기, 파스타로 자동차 만들기 같은 것들이다.
6~12학년들은 천문학, 기상학, 열역학 등 이론 중심의 종목, 법의학, 전기 회로 등 문제 풀이와 실험 중심의 종목, 소재 과학, 수질 환경 보조 등의 실생활 응용 과학 중심의 종목 등에 참가할 수 있다. 진행 포맷이 일정하고 주제도 정해져있어 미리 준비하기 수월하다는 장점이있다. 과학 고등학교로 유명한 캘리포니아의 Troy High School과 오하이오의 Solon Middle School, Solon High School이 우승 경력이 많다. www.soinc.org
참고로 아래는 2019년 디비전 B의 이벤트 리스트다.
LIFE, PERSONAL & SOCIAL SCIENCE
Anatomy and Physiology
Disease Detectives
Heredity
Herpetology
Water Quality
EARTH AND SPACE SCIENCE
Dynamic Planet
Fossils
Meteorology
Road Scholar
Solar System
PHYSICAL SCIENCE & CHEMISTRY
Circuit Lab
Crime Busters
Density Lab
Potions and Poisons
Thermodynamics
TECHNOLOGY & ENGINEERING
Battery Buggy
Boomilever
Elastic Launched Gliders
Roller Coaster
INQUIRY & NATURE OF SCIENCE
Experimental Design
Game On
Mystery Architecture
Write It Do It
인텔 사이언스 페어
인텔사가 후원해서 그 이름이 붙은 사이언스 페어는 두 가지였다. The Intel Intern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Fair (Intel ISEF)와 Science Talent Search(STS). “였다” 라는 과거형을 쓴 이유는 STS는 이제 더 이상 인텔이 후원하지 않는다. 현재는 리제네론 과학경시대회(Regeneron Science Talent Search)로 바뀌었다. 나머지 하나는 여전히 건재해서 주니어 노벨상, 과학의 수퍼보울 등으로 불리며 타이틀 스폰서를 유지하고 있다.
인텔 과학경시대회 역대 수상자 중 노벨상을 비록한 세계에서 존경받는 학술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이 많은 것이 자랑이다. 대회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사이트 societyforscience.org 참고
*어떤 분야든 경시대회 수상을 위해서는 학교 공부는 물론이고 그 이외의 과학지식을 얻기 위해 개인적인 탐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과학에 흥미를 가진 초등학생이라면 학교에서 하는 사이언스페어부터 열심히 준비하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