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미국 좋은 학교 찾기 (2) 공립과 차터

  이전 글에서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자녀를 공립학교에 보낸다는 자료가 있었습니다. 공립학교는 거주지에 기반해 학교 배정을 하기 때문에 보통 홈스쿨이라고 부릅니다. 거꾸로 학교를 정하고 그 학교 관할 지역으로 이사가는 경우도 있겠습니다. 좋은 학군이라는 평판이 있는 곳은 이런 경우가 더 많을 수도 있겠습니다. 남부 캘리포니아 몇몇 학군들은 그래서 위장전입에 상당히 예민합니다. 학생이 해당지역에 실제 거주 하고 있는지를 증명하기 위한 서류 제출을 철저하게 하고, 실제로 나가서 조사를 하기도 한다는 ‘카더라’ 소문이 있습니다.  홈스쿨은 부동산이나 동네 이웃에게 물어봐도 쉽게 알려줄 것이고 인터넷에서 주소, 우편번호(zip code)를 입력하면 학교를 찾을 수 있습니다. 검색사이트들 대표적인 학교 검색 웹은 Niche가 있습니다. 우편 번호, 학교 이름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검색이 가능하며 학교 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정보까지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인구와 주택 현황, 부동산 매물, 거주 가구의 수입과 교육수준까지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남부 캘리포니아의 공립학교인 서니힐즈 고등학교(Sunny Hills High School)를 검색해보면 정교하지는 않지만 학업 성취도, 시험점수 등의 아카데믹에 관련된 자료 뿐만 아니라 학교 근처 주택들의 가격도 알 수 있습니다. 거주지에 따른 학교 검색은 부동산 전문 사이트에서도 가능하지만 학교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가 늦는 경우도 있으므로 교육정보 전문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 다른 대표적인 학교 검색 사이트로 greatschools.org가 있습니다. 두 사이트 모두 우편번호, 도시 이름, 개별 학교 이름 등으로 검색 가능한데 그레이트 스쿨즈는 4개 학교까지 비교해 볼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검색으로 알 수 없는 것들 거주지에 해당하는 학교들 중에서 몇날 며칠동안 여러 사이트들을 누비며 검색을 하고 여기저기 수소문해가며 고르고 고른 학교에 다닐 수 있다는 100% 보장은 없습니다. 영...

미국 좋은 학교 찾기 (1)

 생애 최초 학교 입학, 상급학교로 진학을 앞둔 아이가 있거나 이사를 계획하고 있는 가정은 학교 선택이 가장 큰 고민입니다. 미국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좋은 학교와 학군(School District)이 있어서 검색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에서 내 아이에게 맞는 좋은 학교를 찾는데 도움이 되는 몇가지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미국 학교 특징 한국과 가장 다른 미국 교육의 특징, 교육뿐만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사회 환경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은 차이점은 "다양함"입니다. 지나치게 다양합니다.  뭐든 '미국은 이렇다' 하고 한마디로 퉁쳐서 설명하는 것은 늘 어렵습니다.  교육도 마찬가지입니다. 간단하게 미국이라는 나라의 정부, 연방정부가 제시하는 교육과정이 없습니다.  한국의 '0차 교육과정' 이런 것이 없습니다. 의무교육 기간도 주 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나라 전체에 일괄적인 영향력을 가진 교육과정을 만들려고 시도를 하기는 했었습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커먼코어 커리큘럼(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이 그것입니다. 하지만 이 역시 주 정부가 협조/채택하지않으면 소용없습니다.  미국교육의 실질적인 주체는 주 정부, 지역의 교육구(School Districs)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가지고 있는 권한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고 미국의 학교를 보시면 됩니다. 주정부는 교육정책의 대강을 결정하는데 의무교육의 연한이나, 교원자격증 수여,  교육구 예산 편성 및 배분 등을 맡습니다. 교육구는 의사결정기관 또는 자문기관으로서 교육위원회가 각종 정책 수립, 의결 또는 자문하며, 교육감이 선거에 의해 선출됩니다 (이 또한 주 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부분 돈이 기준이 되고는 하지요. 돈이 말을 하고, 돈이 일을 합니다. 미국의 교육도 그렇습니다. 한국 재산세와 비슷한 지역의 부동산보유세 대부분이 그 지역 학교들에 ...